
마크로비오틱 실천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및 할리우드 배우들이 즐겨먹는다고 해 유명해진 마크로비오틱은 얼마 전 한국에서도 스타일이라는 드라마에서 류시원이 마크로비오틱 쉐프로 출연하면서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했다.
‘커다란’ 또는 ‘오랜’이라는 뜻의 ‘매크로(macro)’와 ‘생명의’라는 뜻의 ‘바이오틱(biotic)’이 조합된 말로 일본식 발음인 마크로비오틱으로 불린다. 장수식 또는 자연식 식이요법이라는 의미로 쓰이며 넓은 의미에서 곡류와 채소를 중심으로 한 동양적인 식생활을 가리킨다.
제철에 나는 신선한 재료를 통째로 요리해 먹는 친환경 요리법이다. 하나의 식품은 통째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껍질이나 씨, 뿌리도 버리지 않고 이용한다. 재료의 영양분을 골고루 먹을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줄어들어 친환경의 식생활법이다.
예를들면, 곡물류는 가능한 정미도가 낮은 것이 좋고 엽채류라면 줄기나 뿌리도 사용하고, 근채류라면 잎도 버리지 않고 먹는 것이 좋다.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제철에 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 재료 선택시 식품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섭취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건강은 자신이 살고 있는 토지나 기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건강의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 전통 한식을 기본으로 한다.
우주에 상반적인 두가지 대립 관계가 있듯이 우리몸도, 음식도 음과 양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동양사상에 기초하여 음식이 어느 한가지로 치우치지 않게 균형적으로 먹는 것은 지향한다.
마크로비오틱은 재료선택 뿐만 아니라 조리법과 활용법 모두 자연친화적일 때 비로소 완전히 음식의 생명력을 받아들였다고 본다. 또, 마크로비오틱은 음식을 통째로 먹어 음식물 쓰레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실천 방법으로는 육류나 유제품은 자제하고 유기농으로 재배된 곡류와 채소를 중심으로 요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소금은 천일염을 사용한다. 발효식품을 사용한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