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정신적인 문제가
없더라도 자살을 시도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미국 미시간 대학 연구팀은 1년 여간 5,692명을 대상으로 수면장애와 자살과의
관련을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 증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살을 시도할 위험이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5,692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1년 여간 자살과 수면장애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이 호소한 수면장애의 증상은 잠에 잘 들지 못하는 것, 잠을 잘 유지하지 못하는 것, 원하는 시간보다 2시간
이상 일찍 깨어나는 것 등 세 가지였다.
연구팀은 위 세 가지 수면장애 증상 중 2가지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자살의 위험이
2.6배 높았다고 한다.
이는 경제상황, 결혼 등 사회적 요소와, 남용, 우울, 근심, 신체적 질병 등 자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요소를
감안한 결과이다.
단일 요소로는 아침 일찍 잠에서 깨는 증상의 자살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막진(marcin wojnar) 교수는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을 경우 정신질환이 없더라도 자살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에게 수면장애 진료를 받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수면장애로
인한 수면량의 결핍이 뇌에 영향을 미쳐 충동을 잘 제어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했다.
또 수면장애가 화학물질인 세로토닌의
불균형을 초래해 심리상태에 지장을 줬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이번 연구는 4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릴 국제 정신과협회 학술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코골이 갑자기 줄었어
▶ 늦게 자는 청소년 키 안
큰다▶ 자려고만 하면 다리가 이상해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