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철 발열성 전염병 주의
질병관리본부는 가을철발열성전염병(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환자가 매년 주로 9~11월 사이에 발생한다고 하면서, 국민들에게 각종 야외 활동(벌초, 야유회, 등산, 밤 줍기, 텃밭 가꾸기 및 논밭과 과수작물 추수)시, 개인 예방수칙을 철저히 실천하고, 야외활동 후 두통, 고열, 오한과 같은 심한 감기증상이 있거나, 벌레에 물린 곳이 있으면 지체 말고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발열성전염병이 비록 감소추세이긴 하지만, 야외 활동이 늘어나고 최근 강수량 증가 및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다시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쯔쯔가무시증의 경우,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서 전파되며, 9~11월에 집중되고 ’06년 6,480명, ‘07년 6,022명, ’08년 6,057‘명의 ’09년 4,995명이 발생하였다.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등 주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지구 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쯔쯔가무시증과 같은 매개체 전염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쯔쯔가무시증 예방법렙토스피라증의 경우, ’06년 119명, ‘07년 208명, ’08년 100명의 ’09년 62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으며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에 노출 시 상처 난 피부를 통해 감염된다. 최근 계속되는 호우와 태풍으로 인해 침수지역에서 벼 세우기작업 등으로 오염된 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렙토스피라증 예방법신증후군출혈열의 경우, ’06년 422명, ‘07년 450명, ’08년 375명, ’09년 334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으며 감염된 설치류(등줄쥐, 집쥐)의 타액, 소변, 분변이 공기 중 건조되어 비말형태로 사람에게 감염된다.
신증후군출혈열 예방법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