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오메가-3, 최고로 효과 나타내는 형태 발견

오메가-3 개척자인 예른 뒤에르베르의 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이 가장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에르베르 박사와 덴마크 동료 연구진은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의 오메가-3가 자유 지방산 또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의 오메가-3보다 50% 이상 더 높은 생체 이용률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코펜하겐 대학교와 알보르그 병원의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는 흔히 사용되는 농축 생선 기름 제재의 형태에 따라 생체 이용률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가장 우수한 생체 이용률을 나타냈지만, 에틸 에스테르 형태는 더 낮은 이용률을 나타냈다. 자유 지방산은 중간 정도의 이용률을 나타내며 천연 생선 기름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생체 이용률과 차이가 없었다.”라고 말했다.

심장과 그 밖의 건강에 영향

기름진 생선 섭취 및 기름진 생선에 포함된 오메가-3 지방산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잘 문서화돼 있으며, 이는 1970년대 초반 뒤에른버그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처음으로 란셋지(The Lancet)와 미국임상학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보고됐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다가불포화지방산(PUFAs)은 혈중 지질 수준의 개선, 혈전증 감소, 혈압 및 심장박동수 개선, 혈관기능개선 등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심장 건강을 넘어, 오메가-3 지방산, 특히 EPA와 DHA는 특정 암의 위험을 낮추고, 임신 기간 중 아기의 성장발달, 관절 건강, 행동 및 기분 개선 등을 포함하는 많은 건강상 이익과도 관련이 있다.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농축 오메가-3 지방산이 유통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자유 지방산(FFA), 에틸 에스테르(EE), 또는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rTG) 등이 있다.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생선 바디오일로 만들어진 제품을 말하는데, 이 제품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약 30%가 에틸 에스테르로 전환된 다음, 분자증류방식으로 짧은 사슬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을 제거해 EPA와 DHA 함량을 약 60%까지 증가시킨 것이다.”라고 연구진은 설명한다.

뒤에른버그와 그의 동료들에 따르면, “다양한 오메가-3 제재에서 EPA와 DHA의 실제 생체 이용률에 관해서는 여전히 의문점이 존재한다”고 한다. 따라서 이들은 다섯 가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생선 바디 오일 내의 천연 TG, 대구간유, EE, FFA, rTG를 테스트했다. 이 연구에 21세에서 56세에 이르는 72명의 사람들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2주 동안 오메가-3 중 하나의 형태로 된 보조제를 받았으며, EPA와 DHA를 합한 1일 용량은 3.1-3.6g이었다.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생체 이용률이 천연 트리글리세라이드보다 훨씬 높아

실험 결과, 연구진은 “EPA와 DHA를 합한 평균 상대 생체 이용률은 EE의 경우 73%, FFA의 경우 91%, rTG의 경우 124%였으며, 용량을 보정하면 결과는 각각 76%, 86%, 134%였다.”라고 보고했다.

“우리는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생체 이용률(124%)이 천연 트리글리세라이드(생선 바디오일과 대구간유)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지만, 이러한 차이는 대구간유와 비교할 경우에만 의미가 있었다는 점은 강조돼야 한다. 재에스테르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외에도 디글리세라이드와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는 이유를 들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2주) 동안 약 3.5g의 고정된 용량의 오메가-3 지방산에 근거한 결론이므로 보충 기간 또는 용량이 서로 다를 경우 다른 결과가 나올수도 있지만 이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연구는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과 필수 지방산(Prostaglandins, Leukotri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지 8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