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까지 1급 발암물질 32% 줄인다
환경부는 선진 수준의 화학물질 관리로 건강 및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8개 부처(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국토해양부, 소방방재청, 농촌진흥청, 식품의약품안전청) 합동으로 2020년까지 추진할 ‘국가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eu, 일본, 중국 등 국제적으로 유해물질로부터 사람의 건강 및 환경 위해 저감을 위한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유해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선진국 수준의 화학물질관리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un에서도 2006년 화학물질관리 전략(saicm)을 수립해 각국으로 하여금 화학물질 사용 전과정에서 위해 저감 노력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에 un의 saicm을 적극 이행하면서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관계부처 공동으로 ‘국가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국가 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은 선진국 수준의 화학물질 관리로 사람의 건강 및 환경위해의 최소화를 비전으로, 2020년까지 화학물질 유해ㆍ위해 정보 80% 이상 확보 및 1급 발암물질 배출량 32% 저감을 목표로, 5대 추진전략, 15개 핵심 추진과제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국가 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의 주요내용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