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로 1인당 진료비용 격차가 최대 3배 가까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0년 의료보장(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자격 및 진료비 지급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의료이용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2010년 1인당 진료비용(건강보험+의료급여)은 전북 부안군이 188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 함평군 180만원, 전남 신안군 177만원 순(順)으로 노인층이 많이 밀집한 농어촌지역이 진료비가 많았다.
이와 반대로 가장 적은 지역은 경기 수원시 영통구 66만원이었고, 수원시 권선구, 수원시 장안구는 평균 72만원으로 지역 간에 약 3배의 차이를 보였다. 2010년 7개 주요 만성질환 1천명당 환자수는 고혈압 108명, 당뇨 43.1명, 치주질환 277.1명, 관절염 109.5명, 정신 및 행동장애 46.4명, 감염성질환 200명, 간질환 25.5명으로 나타났다.

7개 만성질환별로 1천명당 환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을 살펴보면 ▲고혈압은 강원지역이 1천명당 14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당뇨는 전남 58.2명 ▲치주질환은 전북 306.2명 ▲관절염은 전남 186.1명 ▲정신 및 행동장애는 전북 59.9명 ▲감염성질환은 전남 248.2명 ▲간 질환은 전남 35명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다. 모든 만성질환이 노인이 많이 사는 도지역(道, 중소도시, 농어촌)에서 1위를 보였다.
반면, 1천명당 환자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주로 도시지역으로 ▲고혈압환자는 광주 82.7명 ▲당뇨환자는 울산 34.4명 ▲치주질환은 대구 260.6명 ▲관절염은 울산 84.7명 ▲정신 및 행동장애는 인천 37.7명 ▲감염성질환은 서울 174.1명 ▲간질환은 울산 22명이었다.
‘2010년 지역별 의료이용통계’ 분석결과, 환자의 거주지역에서 시도를 벗어난 타지역에서 진료를 받는 비율이 충청권, 강원권, 호남권은 15%가 넘었다. 또한 시군구 지역간 노령화 차이로 인해 지역에 따라 약 3배정도의 진료비 차이를 보였다.
또한, 2007년 이후 고혈압, 당뇨환자는 연평균 5% 정도 증가하였으며, 환자들의 질환관리 인식이 개선되어 1인당 연간 투약일수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지난해 9월에 ‘만성질환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만성질환자 관리강화제’’ 도입계획을 발표하였고, 제도검토를 통해 올해 4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9월 발표내용을 보면 ‘환자’에게는 본인부담을 경감시켜주고 건강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증인 입원,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사례를 예방하고 ‘의원’에게는 환자관리 노력에 대한 보상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공단 관계자는 "4월부터 시행예정인 ‘만성질환자 관리강화제’에 참여한 환자들에게 질병관리에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 자가관리지침서 제공 및 상담 등 다양한 지원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