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5~9세 인터넷중독, 성인보다 심각

9세 이하 아이들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서는 중독의 위험성을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만 5세~9세 아동들의 인터넷 중독률(7.9%)이 만 20세~49세 성인 중독률(6.8%)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아이이 같은 결과는 지난해 말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1년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인터넷 이용자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조사대상 연령(‘10년만9~39세→’11년만5~49세)과 표본수(‘10년7,600명→’11년1만명)를 확대하여 통계의 대표성을 크게 강화했다.

실태조사 결과, 인터넷중독률은 7.7%(중독자수 2,339천명)로 전년보다 0.3%p 떨어졌으나 고위험군 중독자는 1.7%로 0.3%p 증가했다. 아울러 이번 처음 조사한 유아동(만5~9세)의 인터넷중독률(7.9%)이 성인(6.8%)보다 높게 나왔다.

청소년 중독률은 전년보다 2%p 낮아진 10.4%로 조사됐다. 고등학생(12.4%)의 중독률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고위험군은 4.1%가 고등학생으로, 초·중학생 고위험군(2.1%) 보다 2배 높게 나왔다. 또한 월평균 가구소득 2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13.0%)과 다문화가정(14.2%), 한부모가정(10.5%) 청소년의 중독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인 중독률은 6.8%로 전년대비 1.0%p 증가하였으며, 그 중 대학생이 11.0%, 성인 무직자가 10.1% 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 인터넷중독률은 남성(9.1%)이 여성(6.1%)보다 높았으며, 고위험군에서도 남성(2.2%)이 여성(1.2%)보다 2배 높았다.

인터넷 주 이용목적은 일반사용자는 뉴스검색(43.0%), 웹서핑(36.2%)인 반면, 인터넷중독자는 온라인게임(41.3%), 웹서핑(37.7%)이었으며, 1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일반사용자는 1.9시간, 중독자는 2.7시간으로 조사됐다. 고위험군 중독자의 9.3%는 타인 비방 및 허위사실 유포 등의 악성 댓글을 작성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처음 조사한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보면, 일평균 이용시간은 3.2시간이고(전화·문자 등 통화서비스 포함), 주 용도는 ‘채팅 및 메신저(65.1%)’, ‘뉴스검색(39.3%)’ 등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률은 8.4%이며, 10대가 11.4%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10.4%로 조사되었다. sns 이용자는 일평균 3.4회(52.4분) 이용하며, 이용자의 10.1%는 sns를 과다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한 정책점 시사점으로는 기숙형 치료, 병원치료, 전문후견인제 도입 등의 집중적인 대응 방법과 가정의 역할, 학교 차원의 예방교육, 전문상담 등의 사항이 요구됐다.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8개 관계부처의 대응책을 공동으로 발표하며, 각 부처마다인터넷 중독단계별 역할을 분담하는 등 범정부적 대응을 계획 중이다. 유아와 청소년, 성인 등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교육을 실시하며, 특히 성인 예방교육 강화의 일환으로는 60만 전 장병 대상 특별 예방교육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가족치유캠프·인터넷레스큐스쿨 등 기숙형 치료와 가정방문상담을 확대하고, 고위험군을 위한 전문후견인제를 도입하는 등 개인 밀착상담도 지원한다.
179개 협력병원을 연계한 병원치료와 지역거점별 ‘게임과 몰입’ 상담치료센터 운영, 시도 인터넷중독대응센터 구축 확대, 전문상담사 센터 상주 등도 계획 중이다. 이와 관련한 인적 인프라 확충과 인터넷 중독관련 정책홍보, 범국민캠페인 전개, 공모전 개최와 정책 포럼 등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 16개 시·도 청소년상담지원센터(청소년전화 1388)를 통한 지역협력병원 연계 및 치료비 지원
※ 치료센터 : 수도권(중앙대병원), 호남권(전북대병원), 영남권(부산백병원)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