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파스 붙인 부위는 자외선 차단해주세요

관절염 환자들이 파스를 붙이고 외출 할때는 옷으로 가리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한다. 이는 파스를 붙인 부위가 햇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두드러기, 물집,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소비자가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설명한 의약품안전사용매뉴얼 '골관절염약,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골관절염은 관절을 감싸고 있는 연골이 손상되어 결국에는 관절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한다.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골관절염 환자비율은 만 65세 이상에서 37.8%로, 여성(50.1%)이 남성(20.2%)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골관절염약은 통증이 있는 관절에 직접 바르거나 부착하는 국소외용제와 먹는 약물, 관절 내에 주사하는 관절내 주사제 등이 있다.

파스또 다른 주의 사항으로는 진통을 감소 시켜주는 크림이나 파스 사용 시 눈이나 점막부위, 상처가 있는 피부에는 사용해서는 안되며, 사용 후 피부발진이나 두드러기 등이 나타난 경우엔 즉각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먹는 약은 아세트아미노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쎄레콕시브(cox-2 선택적 저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복용 시 구역, 구토, 변비, 식욕부진 등 위장관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식사 후 복용한다. 또 두 가지 이상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들을 같이 투여하는 것은 효과에 비해 부작용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자.

식약청은 골관절염 치료에는 대부분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필요하나 약물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에 대한 반응 및 부작용에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의사와 약사의 상담을 받고 약물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 약물요법을 시행할 때도 식이요법, 운동, 체중조절 등과 같은 생활요법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