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건강검진 수검률 꾸준히 증가 추세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2012년 건강보험 대상자 기준 건강검진종별 수검 및 판정현황, 문진, 검사성적 등 건강검진 주요지표를 수록한 ‘2012년 건강검진통계연보’를 발간하여 배포한다고 밝혔다.
2012년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72.9%로 국가 건강검진 중 가장 높은 수검률을 보였으며, 암검진은 39.4%, 생애전환기 건강진단(40세, 66세 대상) 71.7%, 영유아건강검진 55.4%의 수검률을 보였다.
최근 6년간 건강검진종별 수검률을 비교해 볼 때, 일반건강검진은 60.0%에서 72.9%로 12.9%p 상승하였으며, 생애전환기건강진단은 25.6%p 상승, 영유아건강검진은 18.7%p의 상승을 보였다.
국가 건강검진 사업 확대 및 국민들의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수검률이 꾸준하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검진의 지역별 수검현황을 보면, 울산(77.8%), 대전(76.8%), 충북(76.6%)순으로 높은 수검률을 보이고 있으며, 서울(69.2%), 제주(69.6%), 경기(71.9%) 지역이 전체 수검률(72.9%)보다 낮게 나타났다.
2012년 암 전체 수검률은 39.4%로서 2007년 35.4% 대비 4%p증가하였다. 5대 암종별로 보면 2007년 대비 위암은 20.6%p, 유방암 19.3%p, 자궁경부암은 16.9%p 증가하였다.
전년대비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수검률은 향상되었으나 대장암, 간암 수검률은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대장암의 경우 수검인원은 증가하였으나, 검진주기가 2011년 2년에서 2012년 1년으로 변경됨에 따라 대상인원이 1.7배 증가하여 수검률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1차 일반건강검진의 종합판정 비율은 정상a 9.5%, 정상b 38.1%, 질환의심 35.4%, 유질환자 16.9%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20대 이하는 정상판정비율(정상a, 정상b)이 79%로 나타났으나 70대 이상은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유질환자)이 약 50%를 점유하였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 판정이 줄고, 질환의심이나 유질환자 판정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1차 일반검진에서 주로 고혈압·당뇨병 질환의심 판정을 받은 2차 검진대상 중 전체 수검인원은 41만명이며, 14만 6천명이 당뇨병 검사를, 28만명이 고혈압 검사를 받았다.
당뇨병 검사를 통해 실제 당뇨병으로 판정받은 인원은 6만 4천명으로 전체 검사인원의 44.2%를 차지하였으며, 고혈압으로 판정받은 인원은 13만 8천명으로 검사인원의 49.5%를 차지하였다.
연령별 판정비율은 당뇨병의 경우 50대(47.0%), 고혈압은 40대(51.6%)에서 판정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단은 건강검진 결과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보유자에게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상담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실시하고, 고혈압, 당뇨병 판정자 중 미치료자에 대해서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조기치료를 받도록 상담·안내하고 있으며, ‘검진결과 활용 동의서’ 제출자에게는 보건소와 연계하여 건강지원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앞으로 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건강주의예보서비스, 고혈압·당뇨질환자 대상 적정투약관리, 지역단위 건강·질병지표 제공 등 개인별·지역별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제공할 예정이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