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무관심의 정도’가 ‘뇌 건강의 척도’

두뇌가 위축되면 새로운 일이나 사물에 대한 호기심을 잃어버리거나 무관심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국립건강연구소 노화팀의 연구진이 평균 연령 76세의 노인 4,354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촬영을 하고 15가지 항목이 포함된 노인우울척도를 설문한 결과, 무관심의 정도가 높은 이들일수록 두뇌의 크기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노인우울척도 설문에서 무관심에 해당하는 항목이 2개 이상인 이들은 두뇌 속의 회백질(grey matter) 용량이 1.4% 더 적었으며 백질(white matter)은 1.6% 더 적었다고 설명하며 노인들이 무관심하게 되는 이유가 회백질과 백질의 손실 때문이라고 전했다.

뇌회백질은 기억과 생각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백질은 회백질 사이를 연결하는 조직이며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회백질과 백질의 손상은 인지기능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의과학자인 레노르 라우너 박사는 “뇌가 위축되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뇌 질환에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신경학 저널’에 실렸으며 메디컬뉴스투데이가 17일 보도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