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국내연구진, 면역억제제 부작용 유발하는 유전자 발견

서울아산병원은 세계 최초로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인 ‘백혈구 감소증’을 일으키는 특이 유전자를 국내 의료진이 밝혀냈다고 전하고, 이로써 희귀면역질환 등 면역억제제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치료 전 유전자 검사를 통해 면역억제제 사용여부와 약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는 극대화할 개별 맞춤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면역억제제는 자신의 신체를 역으로 공격하는 희귀 면역질환이나 장기이식 수술 환자들에게 있어 필수적인 치료제이지만 면역기능을 과도하게 떨어뜨림으로써 치명적인 ‘백혈구 감소증’을 유발한다.

서울아산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양석균 교수와 울산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송규영 교수팀이 면역억제제(thiopurine)를 사용하는 크론병 환자 978명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면역억제제 부작용을 유발하는 원인인 ‘nudt15 유전자’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희귀질환 중개연구센터의 지원을 통해 진행됐다.

진료실의사양 교수팀이 발견한 ‘nudt15 유전자’는 변이 없이 정상인 경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 유전자 1쌍 모두에 변이가 있는 경우에는 100% 백혈구 감소증이 나타났으며, 전신 탈모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졌다.

일반적으로 면역억제제는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루프스와 같은 류마티스 질환, 장기이식 후 면역억제,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등의 혈액질환 등 다양한 면역 관련 질환에서 핵심 치료제로 사용된다.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면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 면역력이 너무 떨어지는 백혈구 감소증이 나타나는데, 패혈증 등의 심각한 감염이 발생되고 때로는 사망까지 이르게 된다.

같은 면역억제제를 쓰더라도 서양인에서는 5% 이내에서만 백혈구감소증이 나타나지만, 국내에서는 그보다 훨씬 많은 30~40% 의 환자에서 백혈구 감소증이 나타나 면역억제제 치료에 어려움이 많았다.

기존에는 면역억제제 사용 시 나타나는 백혈구 감소가 ‘tpmt 유전자’ 변이로 인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백혈구 감소 부작용이 훨씬 많은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권에서는 tpmt 유전자 변이가 서양인보다도 적어 많은 연구자들이 의구심을 갖고 있었다.

연구팀의 확이니 결과 크론병 환자 978명 중 ‘nudt15 유전자’ 한 쌍 모두 변이가 있는 환자는 1.4%에 해당했으며 한 쌍 중 1개에만 변이가 있는 경우는 18%, 변이가 없는 경우는 80.6%로 나타났다.
‘nudt15 유전자’ 1쌍 모두 변이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100% 백혈구 감소증이 나타났고, 유전자 변이를 한 쌍 중 1개만 갖고 있는 경우에는 75.6%, 변이가 없는 경우에는 25.3%만이 백혈구 감소가 나타났다.

특히 면역억제제 사용 8주 이내의 백혈구 감소증은 한 쌍 모두 변이에서는 100%, 한 쌍 중 1개만 변이인 경우에서는 25.6%, 변이가 없는 경우에는 0.9%에서만 나타나 유전자 변이 여부에 따라서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 쌍 모두 변이에서는 매우 심한 백혈구 감소와 전신 탈모 등의 증상이 100% 모두에서 발생되었고, 한 쌍 중 1개만 변이인 경우나 유전자 변이가 없는 환자들에서는 각각 5.7%와 0.5%에서만 심각한 증상이 나타났다. 이는 서양인에서도 동일한 연구결과로 확인돼 nudt15 유전자 변이가 여러 인종에 걸쳐 면역억제제가 일으키는 백혈구 감소증의 원인 유전자라는 것이 확실하게 입증됐다.

이번에 확인된 nudt15를 유전자검사 표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따라 면역억제제 투여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예측하고 면역억제제 사용여부와 투여용량을 조절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그 동안 논란이 많았던 tpmt 유전자 변이와는 달리 ‘nudt15 유전자’ 변이가 국내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면서 면역억제제가 일으키는 백혈구 감소증의 원인 유전자라는 것이 다시 한 번 확실하게 입증됐다”고 밝히고 “향후 면역억제제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중요한 연구 결과”라고 이번 연구의 임상적 의미에 대해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전자 연구 관련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인용지수 29.6)’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