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섭취하는 음식량이 같다고 가정했을 때 식사를 하루 2회 이하로 줄인 경우, 3회 이상 하는 사람에 비해 혈압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 연구팀은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19세 이상 성인남녀 4625명을 대상으로 하루 식사 횟수와 혈압의 상관관계를 분석,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의 간식 등을 포함한 하루 식사 횟수를 보면 2회 이하는 9%(429명), 3회는 40%(1830명), 4회는 35%(1636명), 5회 이상은 16%(730명)로 나타났다.

그 결과, 하루 식사 횟수가 많을수록 혈압이 낮게 나타났다. 하루 식사 횟수가 2회 이하 그룹의 혈압 수치(mm hg)는 수축기 120.66, 이완기 78.36으로, 식사 횟수가 늘수록 혈압은 점점 낮아져 5회 이상 그룹은 수축기 117.92, 이완기 76.5로 나타났다.
즉 식사 횟수가 하루 5회 이상인 경우는 2회 미만인 경우에 비해 수축기 혈압은 3mmhg, 이완기 혈압은 2mmhg 감소했다. 이러한 혈압 감소 수치는 적절한 음주 또는 저나트륨 식사를 하는 것과 비슷한 혈압 강하 효과이다.
박민선 교수는 “음식 섭취 횟수가 적고 불규칙하면, 상대적으로 인슐린 반응이 항진돼 교감신경계를 과항진 시키고 나트륨 배설을 감소시키는 등의 기전을 통해 혈압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음식 섭취 횟수가 적은 분들은 상대적으로 과일, 채소 등의 섭취가 적어져 비타민 c, e, 칼륨과 같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영양소 섭취가 낮아져, 식사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것도 또 다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임상영양학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