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국내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 분리 및 전체 유전체 분석 결과 기존 중동지역 메르스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며 유전자 변이는 없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의료원은 우리나라의 두 번째 메르스(mers) 환자의 검체로부터 바이러스 분리 배양 및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분석을 수행했다.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이란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지니고 있는 최소 정보 단위의 순서로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체의 염기는 약 3만여 개였다.

배양한 메르스 바이러스 전체 염기 서열을 완성하여 국내 바이러스학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네덜란드 의과학연구센터(emc·erasmus medical center) 등 국내외 바이러스 전문연구기관 및 협회와 유전자 염기 서열 정보를 공유한 결과 우리나라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는 유전자 염기 서열을 나타냈다.
첫 메르스 바이러스인 emc 표준주(genbank no. jx869059)와는 99.55% 일치했다. 또한, 그간 알려진 메르스 바이러스 55개 유전자 정보 중의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 분리주 (genbank no. kf600628, ksa_hafr-al-batin_2013)와는 99.82%로 가장 높은 일치를 보였다.
emc 표준주는 메르스 바이러스가 첫 발견된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환자로부터 emc(네델란드 의과학연구센터)가 처음으로 분리한 바이러스로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national institues of health)의 유전자정보은행(genbank)에 `jx869059‘ 번호로 보관돼 있으며, 메르스의 변종 등을 비교할 때 표준이 된다.
하지만 정부의 변이가 없었다는 발표에도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서열이 99.99%가 같아도 변이는 일어날 수 있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 교수는 “최근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h5n1)가 사람의 세포 속에서 변이가 이뤄진 게 확인됐는데, 이때 변이 전 바이러스와 변이 후 바이러스 염기서열이 99.99%가 일치 했었다”며 “지금 정부는 염기서열 일치율에 대해 각각 99.55%, 99.82%를 얘기하는데 이런 이론을 근거로 변이가 안 일어났다고 얘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추천 기사
· 메르스 예방법, 기침은 손 아닌 팔에
· 오래 또는 적게 자면 사망률 ↑, 한국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 현미 효능, 현미밥이 좋은 이유 7가지출처: 건강이 궁금할 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