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개발 중인 200여 가지의 gm(유전자 변형) 식물 가운데 최종 승인에 가장 근접한 것은 ‘레스베라트롤 생산 쌀’ 등 4가지인 것으로 밝혀졌다.
열린 16차 lmo(유전자변형생명체) 포럼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한 농촌진흥청 박수철 gm작물개발사업단장은 “바이러스 저항성 고추, 가뭄저항성 벼, 레스베라트롤 생산 쌀, 제초제 내성 잔디 등 네 가지 gm 식물은 안전성 평가를 거의 마친 상태”라고 말했다.
안전성 평가를 마친 gm 식물은 정부의 안전성 심사를 통과해야 상업화가 가능하다. 박 단장은 “전 세계적으로 357건의 gm 식물이 최종 검증 단계인 안전성 심사를 거쳐 아무 때나 상업화가 가능한 상태”이나 “국내에선 정부의 안전성 심사를 통과한 gm 식물이 아직 단 한 건도 없다”고 강조했다.
◆ 고급 포도주와 비슷한 수준의 레스베라트 생산하는 쌀세미나에서 특히 주목을 끈 것은 레스베라트롤 생산 gm 쌀. 레스베라트롤은 레드와인의 대표 항산화 성분이지만 쌀, 밀 등 곡류엔 존재하지 않는다.
박 단장은 “농진청 산하 국립식량과학원 백소현 박사팀이 일반 쌀에 레스베라트롤 생성 식물유전자를 넣어 고급 포도주와 비슷한 수준의 레스베라트롤을 생산하는 gm 쌀을 만들었다”며 “이 gm 쌀을 실험동물에 먹였더니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 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를 일반 쌀보다 47%나 더 줄여주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레스베라트롤 생산 gm 쌀은 같은 동물실험에서 좋은 콜레스테롤인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일반 쌀보다 20% 더 높여줬다.
레스베라트롤 생산 gm 쌀은 이미 6∼7년 전에 개발이 완료됐고 안전성 평가를 거의 마친 상태다. 하지만 gm 쌀은 아직 온실 밖으로 나올 수 없다.
레스베라트롤 생산 gm 쌀을 식용으로 보급하려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안전성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농진청은 gm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아직 높고 사회적 갈등을 부를 수 있다고 판단, gm 쌀이 안전성 평가를 통과해도 안전성 심사 요청은 상당기간 보류할 방침이다.
◆ gm 벼와 gm 고추도 안전성 평가 통과 목전기후변화 대응 가뭄저항성 gm벼와 바이러스 저항성 gm고추도 안전성 평가 통과를 목전에 둔 상태다.
박 단장은 “전 세계적으로 가뭄 등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손실은 병충해의 10배에 달한다”며 “심한 가뭄이 들었을 때 가뭄저항성 gm벼는 일반 벼에 비해 15∼20%의 생산량 손실 방지 효과를 나타냈다”고 소개했다.
또 일반 고추에 바이러스 질병이 돌면 25∼90%의 생산 피해를 보게 된다. 바이러스 저항성 gm 고추는 현재로선 고추 바이러스 질병 피해를 막아주는 유일한 대안이다.
박 단장은 “고추에 바이러스 저항성 유전자를 넣는 기술은 전 세계에서 오직 한국만 갖고 있다”며 “인도 등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향후 수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gm 쌀을 포함한 gm 작물의 개발은 우리나라 주변 국가에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중국에선 해충저항성 gm 쌀, 일본에선 삼나무 알레르기 예방 gm 쌀이 개발된 바 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