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강좌

제목

열성홍반에서 화상까지.. 올바른 온열기 사용법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전기매트 일교차가 심해지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각종 온열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강한 성인보다 추위를 많이 느끼는 허약한 환자들의 의료용 온열기 사용도 같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안전사고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은 2006년부터 2009년 10월까지 전열매트류 관련 안전사고(273건)를 분석한 결과, 전기장판(185건, 67.8%)과 전기매트(34건, 12.5%)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2006년 34건, 2007년 79건, 2008년 88건, 09년(1-10월) 72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용 온열기는 인체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근육통을 완화하거나 체온이 저하된 환자에게 사용하는 의료기기를 말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매트형에서 벨트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의료용 온열기 사용시 주의 대상

우선 급성질환자, 악성종양환자, 심장장애가 있는 환자, 인공심장박동기 장착하고 있는 사람은 의료용 온열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말초신경이 둔감한 당뇨병환자나 피부가 연약한 여성 및 유아는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밖에 수면 중 사용이나 다른 기기와 병용은 피하며, 외부 열선의 단선방지를 위해 펴서 보관 할 때에도 주의해야 한다.

열성 홍반 주의

열성 홍반이란 피부가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강한 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홍반과 과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허약한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쉽게 발생한다. 온열 제품의 높은 온도와 장기간 사용이 주 원인이다. 당뇨병 등 감각 이상 환자는 고온이 아니더라도 일정한 온도에 오랜시간 동안 방치될 경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피부가 울긋불긋에 지며 심한 경우 화상까지 입을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온열 제품의 사용을 중단하고 마사지나 로션을 발라 피부를 진정 시켜주면 회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증상이 호전 되지 않을 경우 의사와 상담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다음은 한국소비자원에서 말하는 온열제품 사용시 주의 사항이다.

  • 전열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전원스위치를 끈다.

  • 매트의 온도가 적정온도에 도달하면 조절기의 설정온도를 낮춘다.
  • → 조절기를 높은 온도로 조정해놓고 잠 잘 경우 저온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노인이나 음주를 한 경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장시간 보관 후 재사용할 경우 1∼2일 정도 제품 이상 여부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 한다.

  • 제품 보관 시 매트를 완전히 접어서 보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 장기간 접어서 보관할 경우 매트내부의 열선이 꺾여 단선으로 인한 감전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 전열매트의 조절기를 발로 밟거나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 → 조절기에서 쇼트되어 발화하는 경우가 있다.

  • 전열매트를‘라텍스’매트리스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 → ‘라텍스’매트리스와 같이 사용하다 화재 난 경우, 사용자 과실을 이유로 피해보상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 온수매트나 온수찜질팩 등은 사용전후에 뜨거운 물이 새어나오지 않는지를 점검한다.
  • → 제품의 이상 및 사용상 부주의로 인하여 뜨거운 물에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관련기사>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