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강좌

제목

슈퍼박테리아 추가 발생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세균이미지

지난 12월 14일 슈퍼박테리아(ndm-1 의심사례) 2건이 추가로 양성 판정됨에 따라 총 4건의 감염사례가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는 ndm-1(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마제: new delhi metallo beta lactamase)을 생산하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이 분리된 의심 검체 2건에 대한 최종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검사 결과, 의심 검체 2건에서 ndm-1 생산 cre가 분리돼 이제까지 총4건의 ndm-1이 발견됐으며 발견된 환자 주변 입원 환자나 환경검체에서는 ndm-1이 추가로 분리되지 않았다.

이번에 확인된 총 4건에 대한 조사 결과, 환자 모두 장기간 입원하고 있으며, 해외 여행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4명의 환자는 간질성폐질환을 오래 앓고 있어 스테로이드를 장기 복용해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50대 남성, 당뇨ㆍ화농성척추염으로 장기간 입원해 있는 70대 여성, 만성 간질환으로 입원 중인 60대 남성, 척추 골수염으로 입원 중인 경우와 70대 남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확인된 4건의 사례를 볼 때, ndm-1은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발견됐으며, 치료가 가능한 항생제(티게사이클린, 콜리스틴)가 있으므로 일반인들은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

질병관리본부는, ‘슈퍼박테리아’라는 용어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서 치료가 되는 항생제가 전혀 없다는 의미인데 ndm-1 cre는 콜리스틴이나 티거사이클린이라는 항생제로 치료가 되며 다제내성균이 정확한 용어이지만, 개별 내성균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용어가 불필요하게 길어질 수 있고 외국의 질병관리기관에서도 ndm-1이라는 약칭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ndm-1 cre에 대한 명칭을 ndm-1으로 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q&a를 통해 슈퍼박테리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란 무엇인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은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enterobacteriaceae과(family) 균종(species)인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등에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세균을 의미한다. ndm-1 이란 일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생성하는 new delhi metallo-beta lactamase 라는 효소를 지칭하며 이 효소로 인해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된다.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의 증상은 무엇인가?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은 항생제 감수성 장내세균 감염증과 동일하게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킨다.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과 항생제 감수성 장내세균 감염증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일차적으로 장내세균에 사용하는 항생제가 감염증에 효과가 없거나 현저히 감소한 경우 카바페넴 내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환자에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되었다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

장내세균 감염증 여부와 상관없이 환자의 검체에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됐다면 pcr 검사를 통하여 ndm-1 유전자를 확인하는 것이 환자의 치료나 병원의 감염관리에 도움이 된다. 만약 ndm-1 유전자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환자로부터 분리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을 질병관리본부 약제내성과에 보내 확인진단을 의뢰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검사 후 그 결과를 해당 병원으로 통보한다.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환자에서 확인된 경우에는 어떻게 조치해야 하나?

표본감시의료기관에서는 장내세균 감염증 여부와 상관없이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된 경우에는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하고, 병원 내 감염관리활동을 시작해야 한다. 이 경우 ‘중환자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의 ‘다제내성 그람음성간균’ 관리에 준한 조치를 취하면 된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