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된 나쁜 버릇들을 고치고 싶다면?
예전 중학교 시절을 떠올려 보자. 쉬는 시간이면 의자에 구부정하게 앉아, 손톱을 깨 물며, 다른 친구들을 험담했다. 하지만 이런 행동들은 선생님이 교실에 들어오면 끝이 났다. 지금은 어떨까? 여전히 식탁의자에 구부정히 앉아 손톱의 지저분한 큐티클에 눈살을 찌푸리며, 전화로 친구 험담을 한다. 하지만 이제는 막아줄 선생님도 없다.
나쁜 버릇들은 우리 모두를 괴롭히고, 누군가의 마음을 아프게 하며 시간만 버리게 만든다. 심각한 버릇들을 고치는 데에는 몇 년씩 걸리기도 하지만, 이 나쁜 버릇들을 바로잡고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정신 건강 의학과 전문의, 심리학자 등 수 많은 심리 전문가들은 나쁜 버릇을 고치는 첫 단계는 바로 ‘버릇에 대한 인정’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나쁜 버릇들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고, 고치고 싶다는 생각을 가졌다면 미국 폭스 뉴스가 전하는 조언을 참고해보자.
◆ 안절부절 못하는 버릇
카페인이나 설탕의 과다 섭취로 인한 아드레날린 분비 급증으로 에너지가 넘쳐난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이것은 볼펜으로 딸깍하는 소리를 내는 등 여러가지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
고치는 방법은?_ 하루에 커피를 큰 컵으로 3잔씩 마셨다면,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적당한 운동과 수면도 중요하다. 정신 없이 손과 발을 움직였던 습관에서 벗어나려면 손을 무릎 위에 두고 부드럽게 지긋이 누르거나, 두 다리는 바닥에 바로 세우고 땅 쪽으로 미는 힘을 주는 동작을 침착해 질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 좋다.
◆ 쩍쩍 소리 내어 껌을 씹는 버릇
예민하거나 불안 할 때 심리적 위안을 삼기 위한 무의식적 행동이다.
고치는 방법은?_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해결책은 껌 대신 딱딱한 사탕을 먹는 것이다. 그러나 껌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면, 이 행동을 할 때 마다 당신을 제지해달라고 친구에게 부탁하라. 또한 자신이 껌 씹는 소리를 듣고 그 소리가 얼마나 거슬리는지를 스스로 인식해야 한다. 스스로 거북한 생각이 들면서 버릇이 고쳐질 수 있다.
◆ 자꾸 늦는 버릇
만약 약속에 자꾸 늦는다면 기다리고 있는 다른 사람의 시간보다 자신의 시간이 더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비쳐질 수 있다. 또한 사회 생활을 하면서 필요한 시간관리 기술이 부족한 사람으로 보일 수 있다.
고치는 방법은?_ 만약 다른 사람이 무언가를 해 달라고 부탁하면, 바로 승낙하지 말고 정말 그 일을 할 시간이 있는지를 계산하라. 또한 어떤 일로 인해 자꾸 늦어지는 지를 파악하라. 잦은 지각의 이유는 아침에 머리를 말리는 시간 때문일 수도 있다. 시계를 5분 정도 빠르게 맞추어 놓으면 예기치 않게 늦어질 때 시간을 벌 수 있고, 늦을 경우 먼저 상대방에게 전화해 두는 습관을 들이면 예의를 지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항상 늦는다는 전화를 하는 것이 창피해 버릇을 고칠 수도 있다.
◆ 꾸물거리는 버릇
어떤 일을 완수 해야 할 때 드는 불안감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것일 수 있다.
고치는 방법은? _주변사람들은 꾸물거리는 모습을 일에 관심이 없어서 보이는 행동으로 생각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는 것보다 더 안 좋은 인상을 줄 수도 있다. 약속한 시간까지 일을 마치지 못하면 벌금을 내는 규칙을 만들고, 친구를 감시자로 두는 방법도 좋다.
◆ 구부정한 자세
친구들보다 키가 크거나 가슴이 크다는 이유로 성장하는 동안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면서 그 자세가 굳어 졌거나, 만성 피로가 원인일 수도 있다.
고치는 방법은?_ 복근과 등 위쪽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댄스 강좌나 요가, 필라테스 수업에 참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어깨를 귓불까지 올린다는 생각으로 어깨를 으쓱하는 운동은 구부정한 자세를 고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 동작을 앞 뒤로 10번씩 반복하다 보면 스스로 자세를 의식하고, 똑바로 서고, 앉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또한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구부정한 자세의 또 다른 원인인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없애는데 도움이 된다.
◆ 손톱을 물어 뜯는 버릇
위안을 얻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무의식적 행동이다. 손톱을 물어뜯는 것은 아기들 손가락 빨기의 어른 버전이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고치는 방법은?_ 인조손톱을 붙이거나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매니큐어를 칠하면 보기에도 좋고 이 손톱을 망가뜨리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손톱을 입 가까이 가져가려 하지 않게 된다.
◆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버릇
높은 기대 수준을 가진 완벽주의 성향의 부모 밑에서 자랐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항상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한다.
고치는 방법은?_ 과도하게 집중하는 습관을 버리는 훈련을 해야 한다. 다른 곳에 피해를 안 주는 사소한 집안일, 즉 설거지를 하거나 이불을 갤 때 고의적으로 대충해보자. 그러면 완벽하지 않은 일의 결과가 그렇게 생각보다 끔찍하지 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일을 할 때 시간 제한을 두고, 알람을 맞추거나, 자기가 잘 못하는 일을 찾아 재미 삼아 도전하는 것도 좋다. 음치라면 노래교실에 가거나, 점수에 연연하지 않는 주말 스포츠 동호회에 가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