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얼굴 표정은 배우는 게 아니라 타고나는 것

기쁨과 슬픔 등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 표정은 살아가면서 배우는 것이 아닌 유전자에 의해 타고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샌프란시스코 주립대 심리학과 데이비드 마쓰모토(David Matsumoto) 교수 연구팀은 표정이 학습에 의한 것인지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인과 시력장애를 가진 사람의 얼굴 표정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고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참가한 23개 나라의 운동선수 사진 4800장을 분석했다.

사진에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공통적으로 얼굴 근육 전체를 사용하는 진정으로 기뻐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은메달리스트의 85%는 일명 ‘사회적 웃음’이라는 입 근육만 살짝 움직이는 미소를 지었다.

선천성 시각장애인은 감정에 따라 얼굴 표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후천적으로 전혀 학습하지 못했지만 일반선수의 경우와 흡사한 표정을 지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쓰모토 교수는 “이미지 분석결과 일반선수와 시력장애인의 상황에 따른 얼굴 표정이 거의 똑같았음을 확인했다”며 “이는 우리가 짓는 감정에 따른 얼굴 표정이 유전자에 의해 내재된 것을 표현하는 것임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포츠머스 대학 브리짓 월너(Bridget Waller) 박사는 이 결과에 대해 “영장류는 다른 영장류에게 이빨을 드러냄으로써 공격할 의사가 없음을 표현한다”며 “인간도 비슷한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