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이 특히 남성들의 두뇌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년의 남녀 흡연자들을 장기 추적조사한 결과, 흡연 남성은 비흡연 남성에 비해 기억력, 사고력, 정보 습득 및 처리 능력과 같은 두뇌 활동이 급격하게 떨어져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흡연 여성에게서는 이와 같은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왜 이런 남녀의 차이가 생기는지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연구팀은 여성의 하루 흡연량이 남성보다 적고, 상대적으로 담배를 피워 온 세월이 남성보다 길지 않다는 점을 그 이유 중의 하나로 추정했다. 또 남성들이 술과 함께 담배를 피우는 점도 흡연이 남성들의 두뇌에 타격을 입히는 이유로 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영국 런던대학 세브린 새비어(saverine savia) 교수팀은 5100여명의 남성과 2100명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10년 가량 장기적으로 뇌 기능을 평가해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대개 사무직 종사자들이었으며, 최초 뇌기능 측정 당시 평균 나이는 56세였다. 평가는 기억력, 어휘력, 추론능력(언어추리 및 수학추리) 등 5개 분야의 테스트로 이뤄졌으며, 매 5년마다 한번씩 두 번 더 테스트를 했다.
조사 결과, 흡연 남성은 비흡연 남성에 비해 뇌 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었으며, 조사 기간 동안 담배를 계속 피웠던 사람의 두뇌 퇴화 속도는 비흡연 남성의 두뇌 퇴화 속도보다 더 빨랐다.
금연을 한다고 해서 그 효과 또한 두뇌에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최초 뇌기능 평가를 실시하기 전 금연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은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뇌 기능이 떨어져 있었다. 단, 금연한 지 10년 이상 된 금연 성공자들은 비흡연자들보다 두뇌 퇴화 정도가 심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런 사실로 미뤄볼 때 흡연이 기억력과 사고력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담배를 끊은 뒤에도 적어도 10년 동안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일반정신의학 기록(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에 6일 온라인으로 게재됐으며, 웹엠디, 헬스데이 등이 같은 날 보도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