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4명 중 3명이 30~50대

이경규, 김장훈, 김하늘 등 유명 연예인들을 괴롭힌 ‘공황장애’가 장년층을 중심으로 해마다 크게 증가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공황장애질환’의 진료환자는 2006년 3만5천명에서 2011년 5만9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간 연평균 10.7% 증가했으며,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6년 74명에서 2011년 119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연평균 9.9%)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50대 진료환자(2011년 기준)는 42,565명으로 전체 환자(58,551명)의 3/4정도를 점유했다. 적용인구 10만명당 환자는 남성은 118명, 여성은 120명으로 남여간 차이가 적었으나, 30~40대에서는 남성이 많은 반면 50대~70대는 여성이 더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공황장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공포

공황장애는 죽음이 임박할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현기증,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저림 등의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원래 공황장애는 초기 성인기에 흔히 생기게 되며, 평균 발병나이는 25세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공황장애의 증상으로 가슴두근거림이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만큼 20대 중반 증상이 발병됐다고 하더라도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등을 먼저 내원하는 경우가 많고, 타과 진료 시 이상이 없다고 진단받을 경우, 정신건강의학과를 찾기 때문에 30대부터 공황장애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공황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황장애에 대해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공황장애에서 경험하는 신체증상들이 교감신경이 과활성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며, 이러한 증상들로 미치거나 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공황발작 동안의 괴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

또 술, 담배와 카페인 음료를 멀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술, 담배 그리고 카페인은 공황장애에 취약한 사람에게는 공황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중추신경흥분제를 포함한 다이어트 필 등의 약물도 피해야 한다.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된다. 과호흡은 가슴 답답함이나 두통과 같은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공황증상이 있을 때 깊게 숨을 쉬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평상시에 호흡을 조절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요가나, 명상, 점진적 근육이완과 같은 이완 요법도 좋다. 몸의 이완 반응은 공황증상이 올 때의 신체반응과 반대의 반응이다. 공황 발작이 있을 때에 호흡을 깊게 하고 신체를 이완시키면, 공황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