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지난 5년(2010~2014년)간 ‘피부건조증’ 환자에 대해 분석한 결과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의 약 50%가 50대 이상이라고 발표하며, 노년층의 주의를 당부했다.
‘피부건조증’은 건조한 환경 등의 여러 원인으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져 피부 수분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질환이다. 건조한 날씨, 냉·난방기, 자외선 등의 외부적인 요인과 유전, 아토피 피부염, 피부 노화 등의 내부적인 요인이 있다.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고 가려움증, 갈라짐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악화할 경우 세균 감염이 생길 수 있다.

심평원의 발표로는 ‘피부건조증’ 진료인원은 가을철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겨울이 지난 후 차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동안 월평균 진료인원 확인한 결과 1년 중 10월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12월에는 34,506명으로 9월(13,529명) 대비 2.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전월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 또한 10월로 52.6%나 증가했다. 가을, 겨울의 건조한 날씨로 인해 진료인원이 증가하며 봄이 다가오면서 인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건조증’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층은 70대 이상 구간으로, 2014년 기준 약 4만 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의 21.5%를 차지했다.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이 많은 연령층은 70대 이상 21.5% 〉 50대 14.5% 〉60대 12.8% 순으로,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성별로는 40대까지는 여성이 많지만, 50대 이후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연령별 남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건조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기 전 보습크림 등을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진단을 통해 연고를 처방받아야 한다. 외부적인 요인의 경우는 충분한 보습크림 사용 등 생활습관을 통해 예방할 수 있지만, 유전, 아토피 피부염 등의 내부적인 요인의 경우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연고를 처방받아야 한다.
심평원 문기찬 전문심사위원은 “피부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젖은 수건을 사용해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가습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레지오넬라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병원균이나 가습기에 사용되는 살균제(phmg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의 유해성에 대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피부에 자극을 주는 옷, 과도한 목욕(때 밀기) 등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