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은 환절기가 되면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악화될 수 있는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이다. 천식의 정확한 뜻, 원인 및 증상은 무엇일까
천식은 폐의 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이다. 기도는 공기를 폐로 운반하는 관이다. 천식이 있는 경우 기도에 염증이 생기고 때때로 좁아질 수 있다. 천식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종종 어린 시절에 시작된다.
천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종종 폐에 있는 물질에 대한 면역 체계의 강한 반응의 결과이다.

보통 신체의 면역 체계는 감염과 싸우는 것을 돕는다. 면역 체계는 염증을 유발함으로써 알레르겐에 반응한다. 이 염증은 기도가 붓게 하고, 좁아지게 하며 더 많은 점액을 생성하게 한다. 이렇게 되면 사람은 숨쉬기 어려워진다. 기도의 주변 근육도 조여올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숨쉬기는 훨씬 더 어려워진다.
천식이 잘 조절되면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증상이 악화된 채 조절되지 않으면 폐의 기도를 손상시킬 수 있다. 천식의 증상으로는 흉부 압박, 기침, 호흡 곤란, 숨을 내쉴 때 나는 휘파람 소리 등이 있다.
천식 진단을 받으면 의사가 천식 증상을 관리하고 천식 발작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 계획을 세운다. 속효성 완화제는 천식 발작 시 사용된다. 가장 흔한 속효성 완화제로는 흡입기(inhaler)가 있다. 이 응급 흡입기는 기도 주변의 긴장된 근육을 빠르게 이완시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기도 염증을 줄이고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 복용하는 장기 조절 약도 있다.
삼담의사 장복순 교수님은 "천식은 주로 기도에 염증과 점막에 부종으로 인한 기도 수축으로 인해서 발생"한다고 말하며 "호흡곤란, 기침, 천명음 등 다양한 전형적인 천식의 호흡기 증상 외에도 비전형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단지 마른 기침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흉부압박감을 호소하는 경우, 또는 목구멍에 가래가 걸려있는 것 같은 증상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도움말 = 상담의사 장복순 교수 (호흡기 내과 전문의)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