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염 때 찾아오는 열 관련 질환 대처법
7월 장마가
끝나면 어김없이 폭염이 찾아든다. 폭염이 오면 평소 건강한 사람은 물론 노인, 만성질환자들의 건강에도 빨간등이 켜진다. 폭염 때 주의해야 할 열
관련 질환과 대처법에 대해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응급의학회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일사병은 열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염분과 수분이 소실돼 생기는 질환이다. 대부분 열에 상당시간 노출됐으나 제대로 수분 및 염분 섭취를 하지 않아 발생한다. 노인에게서 일어나는 경우가 흔하다.
보통 땀을 많이 흘리고 창백, 두통, 구역, 구토, 어지럼증 등을 호소한다. 또한 피부가 차고 젖어있으며, 체온은 크게 상승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일사병이 의심되면 서늘한 곳에서 쉬면서 시원한 음료, 특히 염분이 포함된 음료를 마신다. 단, 맥주 등 알콜이 포함된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 차가운 물로 샤워를 하거나 목욕을 하는 것도 권장되며, 증상이 심할 경우는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염분을 보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열사병열사병은 치사율이 높아 열 관련 응급질환 중 가장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체내 체온조절중추가 외부의 열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잃으면서 생기는 데 발한기전 등이 망가져 지속적인 체온상승을 보이게 된다.
대개 체온이 40도가 넘지만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다. 심한 두통과 어지러움, 구역의 증상을 보이며 의식이 혼미하거나 심한 경우 의식을 잃는다.
열사병은 무엇보다 환자의 체온을 빨리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를 차가운 물에 담근다거나 환자에게 물을 뿌리면서 바람을 불어주는 방식 등이 유효하다.
이때 환자의 체온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함부로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것은 위험하니 삼가해야 한다.
특히 가급적 빨리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좋으며, 이것이 어렵다면 1339 등으로 전화를 걸어 치료에 대한 지도를 받도록 한다.
열경련열경련은 여름에 많은 땀을 배출한 뒤 생기는 질환으로 땀에 포함된 염분과 수분으로 인해 체내의 나트륨 성분이 부족하게 되면서 발생한다. 강한 노동이나 운동 후에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로 근육의 경련과 통증을 수반한다.
열경련이 의심되면 일단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하도록 하면서 스포츠 음료나 나트륨이 포함된 쥬스 등을 마시는 것이 좋다.
경련이 멈췄다고 해서 바로 다시 일을 시작하면 안 되며, 1시간 넘게 경련이 지속된다면 바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열부종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우리 몸은 열을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을 늘이고 심부의 혈액량은 줄이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오래 서있거나 앉아 있게 되면 체표에 순환하던 혈액의 수분들이 혈관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종을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이 열부종이다.
흔히 다리에 부종이 생기며, 다리를 올린 자세로 휴식을 취하면 쉽게 회복된다.
열실신체표면의 혈액순환이 늘어나면 뇌로 가는 혈액량도 부족한 경우가 생기며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이 열실신이다.
보통 의식 상실이 주요 증상이며, 열실신이 일어나기 전에 어지럽거나 구역, 발한, 위약감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열실신은 대개 그늘진 곳에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스스로 회복된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