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절기 건강관리요령
이제 아침저녁으로는 바람이 선선하게 부는 반면 낮에는 30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환절기를 보내고 있다. 이렇게 밤과 낮의 기온차가 심해지면 우리 몸이 온도에 적응해야 한다. 그러나 온도조절능력이 떨어지는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감기증상을 보이기도 하고,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콧물, 코막힘, 재채기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환절기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환절기에 가장 흔한 질환은 감기다. 환절기에 감기환자들이 많은 이유는 날씨가 추워서라기보다는 우리 신체가 여름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갑상선 호르몬 분비량을 줄이는 등 열 생산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몸이 적응을 하다가 일교차가 심해지면서 신체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에 적응하지 못하고 저항 능력이 떨어져 감기에 노출되는 것이다. 감기는 저절로 낫는다는 생각 때문에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다양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히 노인이나 아동들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감기 및 호흡기 질환 예방 및 관리요령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등 특정물질이나 환절기 목욕 후에 환경적 변화에 우리 몸 특히, 코가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증상으로는 콧물과 코막힘(좌우로 교대로 막힘)이 있고, 후비루(목으로 콧물이 넘어감), 코맹맹이 소리, 그 외에 후각장애나 재채기, 두통, 머리가 무겁고 코주위의 답답함, 기침 유발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비염이 오래되면 축농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축농증은 코가 잘 막히고 콧물이 목 뒤쪽으로 잘 넘어 가기 때문에 기침을 하게 된다. 코를 풀면 고름이 섞인 누런 콧물이 나오고 고름이 섞인 콧물 때문에 입에서 냄새가 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및 관리 요령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