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
매년 12월
1일은 국제연합(un)에서 정한 '세계 에이즈의 날'이며 각종 에이즈 단체들은 에이즈 관련 행사와 여러 가지 이벤트 개최에 여념이 없다. 하지만
우리는 에이즈에 대해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을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에이즈를 흔히 성관계로 감염되며, 결국 고통 받으며 사망하는 불치병으로 알고 있다. hiv에 감염된 사람의 인권 향상 및 에이즈 정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세계 에이즈의 날'인 만큼 에이즈에 대해 정확히 알아 보고 오해와 진실을 풀어 보자 . 다음은 대한 에이즈예방협회에서 제안하는 에이즈에 대한 정보다.
에이즈란 무엇인가?에이즈(acquired immuno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면역결핍증)는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진행성 증후군이다. hiv에 감염되면 신체의 면역체계가 손상되고, 정도가 심해지면 단순한 감염증에도 면역체계가 제 기능을 하지 않아 감염증이나 암을 일으키게 된다. hiv감염인이 에이즈환자로 진행되기까지 이 바이러스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손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년기에 있었던 감염의 재발과 같은 질병에 대해 인체 내에서 스스로 저항하고 통제해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이 가능 하지만 hiv에 감염되면 이러한 면역기능을 상실하여 질병으로까지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hiv 감염 후 에이즈 환자로 진행되는 기간은?hiv에 감염된 지 10년 이내에 감염인의 절반 정도가 에이즈환자로 진행된다. hiv에 감염된 사람이 에이즈증상을 보이기 전까지의 기간을 에이즈의 '무증상기'라고 한다. 감염된 후 에이즈증상을 보이기 전까지 감염인은 건강하다고 스스로 느끼는 것은 물론 남들에게도 건강하게 보인다. 따라서 감염인은 자신이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을 수 있다. 감염인은 수혈이나 성접촉을 통해 자신의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는 어떤 차이가 있나?hiv 감염인은 말 그대로 신체 내에 에이즈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하며, 에이즈환자는 감염 후 면역체계가 파괴되어 2차적인 감염증이나 악성종양이 나타난 경우를 말한다. 현재까지는 감염 후 8~10년이 지나면 에이즈 환자로 진행되나 이는 성접촉에 의해서 감염된 경우이며 수혈로 인해 감염된 경우에는 3~4년정도로 기간이 짧아진다. 에이즈 환자로 진행되면 정상인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여러 가지 곰팡이, 바이러스, 원충, 기생충 등에 의한 폐렴, 뇌염, 장염, 망막염 등이 발생하며 최근에는 치료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이 잘 발생한다. 그러나 현재는 강력한 에이즈 약제로 인해 에이즈라는 질병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 많다.
모든 hiv 감염인이 에이즈 환자로 진행될까?과학자들은 1992년 조사결과 hiv에 감염된 사람의 절반 정도가 10년 이내에 에이즈환자로 진행하게 된다고 추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추정은 1970년대 남성의 b형 간염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한 혈액표본을 샌프란시스코에서 연구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이며, 감염된 지 10년 후 감염된 남성의 절반 정도가 에이즈환자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에이즈는 '게이병'인가?얼마 전까지만 해도 에이즈는 동성애자들만의 질병이라는 오해가 널리 퍼져 있었다. 에이즈는 hiv에 감염된 사람의 체액에 노출된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hiv는 성인 남녀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어린아이들에게까지도 전파되고 있다. 동성애자든 이성애자든 성관계를 하는 상대방이 hiv 감염인 일 경우에 감염될 위험이 있을 뿐이며 성관계가 아니더라도 감염된 사람의 혈액에 노출될 경우에 감염될 수 있다.
성병에 걸린 사람은 에이즈에 더 잘 걸릴까?성병에 걸린 사람은 이미 치료를 받았거나 걸리지 않은 사람보다 hiv에 감염될 위험의 소지가 상대적으로크다. 예를 들어 매독과 연성하감과 같은 성병은 피부나 점막에 궤양이나 상처를 유발하는데, 만약 이들 궤양이 생식기 주위에 발생하게 되면 성관계 시 hiv가 체내로 침투해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소지를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